본문 바로가기

건축생각9

공간 혁명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이 지어내는 것임을 뜻하는 불교용어. 일체유심조와 관련해 자주 인용되는 것이 신라의 고승 원효와 관련된 얘기다. 원효는 661년 의상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라, 당항성에 이르러 어느 무덤 앞에서 잠을 잤다. 잠결에 목이 말라 물을 마셨는데, 날이 새어서 깨어 보니 잠결에 마신 물이 해골에 괸 물이었음을 알고, 사물 자체에는 정(淨)도 부정(不淨)도 없고 모든 것은 오로지 마음에 달렸음을 깨달아 대오(大悟)했다는 이야기이다. 원효는 그 길로 유학을 포기하고 돌아왔다. [네이버 지식백과] 일체유심조 [一切唯心造] (두산백과) 여러분은 '모든 일은 마음먹기 달렸다' 생각하나요? 어린 시절 위인전부터 교과서, 한국사 검정능력시험을 공부할 때까지 원효대사 해골물 이.. 2020. 1. 8.
전이공간 transfer space 신문이나 뉴스에서는 수능 한파를 대비하라는 소식이 연일 나오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옷장에 외투를 꺼내 입을 준비를 하고 나무는 줄기에서 잎으로 가는 물을 차단해 초록색 잎을 노란색, 빨간색 단풍으로 물들이며 겨울준비를 합니다. 한국에는 이렇게 사계절이 존재하고 봄, 여름, 가을, 겨울마다 각자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런데 갑자기 여름과 겨울 사이에 봄과 가을이 없어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될까요? 월요일은 반팔 티셔츠를 입고 외출했는데 화요일은 갑자기 겨울 외투를 입어야 한다면, 그 날 아침 정신없이 겨울 외투를 옷장에서 찾아야 할 것입니다. 인간은 힘겹게 살아간다고 해도 나무와 같은 자연의 동식물들이 이런 갑작스러운 변화에 적응을 할 수 있을까요? 사계절에는 봄과 가을이 있어 여름과 겨울로 갑자기.. 2019. 11. 10.
건축, 공간(空間)의 중요성 대학생 3학년이던 때 건축설계동아리 회장을 한 적이 있습니다. 학기가 시작하는 3월초에는 신입생을 모집하고 동아리 전통에 따라 '하드 트레이닝'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신입생들은 5일간 제도판을 이용하여 선을 긋고, 건축 모형을 만들고, 모눈지에 고딕체 글을 쓰는 연습을 했습니다. 지금 쓰는 글은 '하드 트레이닝'을 진행하기 전 신입생을 모아놓고 진행했던 첫 번째 PPT를 글로 풀어쓴 것입니다. 우선 일상 속 공간에서 건축, 공간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상 속 공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백화점 1층 명품 매장에 들어가기를 서성 인적이 있으신가요? 백화점 명품관은 의도적으로 구매능력이 없는 사람은 매장 안에 들어오지 말라는 것을 말과 글이 아니라 공간으로 표현하고 있습.. 2019.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