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72

국가건설기준포털 KCSC http://www.kcsc.re.kr/Search/ListCodes KCSC HOME 건설기준코드 건설기준코드 상세보기 건설기준코드 설계기준, 표준시방서 내용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www.kcsc.re.kr 설계기준, 표준시방서를 열람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건설현장에서 궁금한점이 있을 때 'KCSC'에 들어가 보면 도움이 되실 겁니다. 2019. 8. 4.
LASALLE college of Arts(라살르 예술대학) #싱가포르 건축여행 싱가포르 건축여행의 첫 번째 건물인 LASALLE college of Art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ASALLE 라살르 예술대학의 건축설계사무소는 RSP Architects Planners & Engineerins입니다. http://www.rsp.com.sg/home Home | RSP RSP wins Design & Engineering Safety Excellence Award www.rsp.com.sg 우선 라살르 예술대학의 건물을 대략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 건물을 보기 이전에 우리가 다녔던 학교들을 생각해보면 라살르 예술대학에 건축가의 의도를 파악하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잠시 다녔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건물을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다닌 학교는 대부분.. 2019. 7. 30.
벽체철근2(철근의 이음) #아파트_003 본격적으로 벽체철근 배근에 들어가기 전에 반드시 알고 가야 하는 철근의 중요한 두 가지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철근의 이음과 정착입니다. 우선 벽체철근 배근에서 철근의 이음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에 슬라브 배근에서 철근의 정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하나의 예를 가지고 왔습니다. 하나는 젠가이고 하나는 레고입니다. 젠가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블록을 밀면 그 블록은 밀려나지만, 레고에서는 중간 블록을 밀어도 빠지지 않습니다. 왜 차이가 나는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레고에는 돌기가 존재하여 블록과 블록이 하나로 결합하는데 비해 젠가는 단순히 얹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건물을 짓는 것도 똑같습니다. 예를 들어 30층짜리 건물을 한 번만에 지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현실세계에서는 불가능합니다. 땅을 .. 2019. 7. 29.
벽체철근1 #아파트_003 안녕하세요 정사원입니다. 갱폼 인상에 이어 벽체 철근 배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글에서 설명한 것처럼 갱폼이 올라가면 벽체 철근 배근을 할 수 있습니다. 벽체 철근을 하기 위해서 우선 도면을 봐야 합니다. 도면은 크게 2가지로 구성됩니다. 건축도면, 구조도면입니다. 여기에 추가되는 것이 철근 shop 도면입니다. 철근 shop도면은 철근가공을 위해서 만드는 도면입니다. 우선 이 정도만 기억하고 사진으로 도면을 확인해보면서 다시 설명드리겠습니다. shop drawing : (기계의) 공작도, 제작도, (건축 공사 등의) 시공도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도면의 형태입니다. 각 실의 이름, 콘크리트 벽체, 조적 벽체, 단열재, 문, 주방가구 등의 마감까지 표현이 되어있습니다. 순서대로 건축도면(사.. 2019. 7. 29.
싱가포르 건축여행 #시작 안녕하세요. 정사원입니다. 이번 여름휴가 시즌을 맞아 싱가포르에 다녀왔습니다. 싱가포르는 금융, 물류의 중심지입니다. Marine Traffic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싱가포르는 지정학적으로 엄청난 이점을 갖고 있는 나라입니다. 1인당 GDP는 약 6만 달러로 아시아 2위, 세계 8위 입니다. (한국 약 3만 달러) 기후는 전형적인 열대기후로 무덥고, 습하며 비가 자주내립니다. (일일 평균기온은 26.8℃, 연평균 최고기온은 31.4℃, 연평균 최저기온은 24.7℃, 연평균 강우량은 2,344㎜, 연평균 습도는 84.3%로 생활하기 알맞습니다.) 인종은 중국계가 75%, 말레이계 15%, 인도계 9%, 기타 1%입니다. 면적은 서울 면적 보다 넓은 719㎢을 가지고 있습니다. 싱가포르 건축법에 따르면, .. 2019. 7. 26.
갱폼2 #아파트_002 안녕하세요 정사원입니다. 이번에는 갱폼 인상 시공순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갱폼 단면도 입니다. 기준층 타설을 완료하게되면 사진2에 ①번 (파란색) 처럼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게 됩니다. 갱폼 인상 작업은 ②번 (빨간색) 벽체 및 슬라브가 형성될 수 있도록 갱폼(큰 거푸집)을 인상시켜주는 작업입니다. ①→② 순서로 작업이 계속 이어집니다. 오른쪽에 1-8번 숫자가 매겨져 있는것은 갱폼에 위치한 볼트의 번호입니다. 갱폼 인상에서 중요한 것은 1번 볼트와 8번 볼트입니다. 나머지 2-7번 볼트는 세대 내부 알폼과 갱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진 2를 자세히 보시면, 1번 볼트와 8번 볼트는 나머지 2-7번 볼트와는 모양이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콘크리트 타설전 L형 앵커 철물을 심어놓아서 힘을 받.. 2019. 7. 20.